이재명·김동연, 역사관 놓고 정면 충돌.."과거사 덮자 vs 중심 잡자"

이날 토론회에서 김동연 후보는 대통령 취임 직후 100일 동안 개헌 절차에 즉각 돌입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으며, 이에 대해 이재명 후보는 개헌의 필요성은 인정하면서도 “먹고사는 문제와 직결되지 않는다”며 우선순위를 조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대통령 중임제, 국회 권한 강화, 기본권·자치분권 확대, 5·18 정신 헌법 전문 수록, 결선투표제 도입 등을 포함한 개헌은 필요하지만, 이를 당장 추진할 필요는 없다는 입장을 견지했다.
반면 김동연 후보는 “개헌을 천천히 하겠다는 말은 결국 임기 내 개헌을 안 하겠다는 뜻처럼 들린다”며 즉각 추진의 필요성을 거듭 주장했다. 그는 “정치적 개혁은 시급한 문제이며, 민생과 별개로 병행이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김경수 후보는 개헌의 필요성에는 공감하면서도 현 시점에서는 내란 세력과 함께 개헌 논의에 나설 수 없다는 입장을 보였다. 그는 “헌법을 파괴한 세력과 새로운 헌법을 논의하는 것은 모순”이라며, 개헌 논의는 보수 정치권의 반성과 쇄신 이후에나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한편, 과거사 문제에 대한 입장도 논란이 됐다. 정규재 전 한국경제신문 주필이 이재명 후보가 친일파와 과거사 문제를 “덮으려 한다”고 밝힌 데 대해, 김동연 후보는 지도자로서 역사관에 대한 명확한 태도를 요구했다. 이재명 후보는 “정 전 주필의 주장은 중간이 생략된 왜곡”이라며 “국가가 이념 갈등으로 분열된 상황에서 지금은 민생에 집중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기본사회’ 정책을 두고도 후보들 간 이견이 드러났다. 이재명 후보는 “국민에게 보편적이고 최소한의 삶을 국가가 보장해야 한다”며 기본사회 정책을 미래 대비책으로서 강조했다. 그러나 김동연 후보는 “지금은 생산성 제고가 우선”이라며 기본사회는 시기상조라고 지적했고, 김경수 후보도 “정부 재정의 현실을 고려하면 기본소득 대신 노인 빈곤 해소 같은 우선 과제부터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경제 정책 방향에 대해서는 세 후보가 공통적으로 민생과 국가 경제 문제 해결의 시급성에 뜻을 같이했다. 이재명 후보는 한·미 통상문제 해결과 내수 진작을 우선 과제로 제시했으며, 김경수 후보는 문재인 정부 초기의 국정기획자문위 사례를 언급하며 정책 구상 정리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김동연 후보는 대통령이 직접 주재하는 비상경제대책회의를 신설해 위기 대응력을 높이겠다는 방안을 제안했다.
토론 이후 각 후보 캠프는 자평을 내놨다. 이재명 캠프는 “후보 간의 다양한 의견 차이에도 불구하고 기본사회와 개헌 방향성에 대한 공감이 있었다”며 “이 후보는 성숙한 토론을 주도했다”고 평가했다. 김경수 캠프는 “김 후보의 정책 능력이 돋보인 자리였으며, 그의 소통력과 전략적 사고가 확인됐다”고 밝혔다. 김동연 캠프는 “김 후보는 실질적 해법을 제시하며 기존 정치 문법과는 다른, 현장형 리더십을 보여줬다”며 짧은 토론회 일정에 아쉬움을 드러냈다.
이번 토론회는 개헌, 역사관, 복지정책 등 대한민국의 미래 비전에 대한 후보들의 시각차를 선명하게 드러내며, 경선 국면에서 주요 쟁점으로 떠오를 의제를 미리 가늠하게 했다. 경선이 본격화되는 가운데, 각 후보가 어떤 방식으로 정책 차별화를 이어갈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