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시민은 25만원 필요 없다? 국힘 박수영, 민생 외면 '망언'

논란의 시작은 박수영 의원(부산 남구)의 지난 4일 페이스북 게시글이었다. 박 의원은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에 대해 환영의 뜻을 밝히면서도, "당선축하금 25만원 대신 산업은행을 달라"며 "우리 부산 시민은 25만원 필요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지역구인 남구로 해수부와 산업은행을 모두 이전해달라는 요구와 함께, 소비쿠폰보다 공공기관 이전을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가 더 시급하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이에 대해 더불어민주당 이나영 상근부대변인은 6일 논평을 통해 박 의원의 발언을 '황당한 소리'로 규정하며 강하게 비판했다. 이 부대변인은 "무슨 자격으로 부산 시민의 권리를 박탈하려 드냐"고 반문하며, 박 의원이 윤석열 정부의 민생 파탄을 막지 못하고 오히려 '내란 극우세력'을 옹호했다는 주장을 펼쳤다. 그러면서 "민생을 입에 올리는 것이 기가 찬다", "염치도 없느냐" 등 원색적인 비난을 쏟아냈다.
이 부대변인은 박 의원이 "지난 3년간 여당 의원으로서 정치적 계산에만 몰두하며 국민을 외면해왔다"고 비판하며, 이제 와서 목소리를 높이는 것은 "염치없는 행동"이라고 일갈했다. 그는 민생회복 지원금이야말로 "윤석열 대통령과 국민의힘이 초래한 민생 파탄과 경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필수적인 동력"이라고 역설했다.

박 의원의 발언은 즉각 SNS상에서도 큰 파장을 일으켰다. "부산 시민에게 물어보고 하는 이야기인가", "본인만 받지 마시길", "내가 부산 시민인데 당신이 무슨 권리로" 등 부산 시민들의 비판적인 의견이 쇄도하며 공분을 샀다.
한편, 이번 논란의 중심에 선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이재명 정부(더불어민주당)가 경기 진작을 위해 추진하는 정책이다. 1차로 전 국민에게 1인당 15만 원에서 45만 원을 지급하고, 2차로 9월에 국민 90%를 대상으로 10만 원을 추가 지급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1인당 최소 15만 원에서 최대 55만 원까지 받을 수 있게 된다.
고물가로 지쳐가는 서민들의 실질적인 삶에 대한 정치권의 인식이 극명하게 엇갈리는 가운데, 민생 회복을 위한 해법을 둘러싼 여야의 공방은 더욱 격화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