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늘값 25% 폭등에 고등어 16% 급등... '서민 반찬' 비상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초부터 4개월 연속 2%대 초반을 유지하다가 5월에 1.9%로 잠시 떨어졌으나, 6월에 다시 2%대로 반등했다. 이번 물가 상승은 주로 식품가격 인상이 주도했으며, 중동 지역의 지정학적 불안으로 석유류 가격도 상승 전환했다. 또한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수산물 가격도 불안정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가공식품 물가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4.6% 올라 2023년 11월(5.1%) 이후 19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가공식품이 전체 소비자물가에 미친 기여도는 0.39%포인트로, 물가 상승을 주도한 주요 요인이었다. 특히 빵(6.4%), 커피(12.4%), 햄 및 베이컨(8.1%) 등에서 큰 오름세를 보였다. 라면 가격은 지난해보다 6.9% 상승해 2023년 9월(7.2%) 이후 21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석유류 가격도 0.3% 올라 다시 상승세로 전환했다. 반면 농산물 가격은 지난해보다 1.8% 하락했는데, 이는 지난해 크게 올랐던 과일 가격이 기저효과로 7.4% 떨어진 영향이 크다. 그러나 채소 가격은 마늘(24.9%)과 호박(19.9%)을 중심으로 0.2% 상승했다.

수산물 가격은 7.4% 올라 2023년 3월(7.4%) 이후 가장 큰 폭의 상승을 기록했다. 고등어(16.1%), 조기(10.6%), 오징어(6.3%) 등 주요 어종에서 상승폭이 컸다. 이는 지구온난화로 인한 해양 생태계 변화와 어획량 감소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축산물 가격은 4.3% 상승해 이전보다 상승폭이 다소 둔화됐지만, 달걀 물가는 산지가격 영향으로 6.0% 올라 여전히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서비스 물가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4% 상승했으며, 개인서비스 부문에서는 3.3%의 상승률을 보였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방식의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는 2.0% 상승했다. 소비자들이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 상승률은 2.5%를 기록했다. 이는 실제 소비자들이 느끼는 물가 부담이 통계상의 물가 상승률보다 더 클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번 물가 동향은 식품 가격 인상이 전반적인 물가 상승을 주도하고 있으며, 특히 가공식품과 수산물 가격의 상승세가 두드러진다는 점을 보여준다. 또한 석유류 가격의 상승 전환과 함께 서비스 물가도 꾸준히 오르고 있어, 향후 물가 안정을 위한 정책적 대응이 필요한 상황임을 시사하고 있다. 소비자들의 체감 물가를 나타내는 생활물가지수가 전체 소비자물가지수보다 높게 나타난 점도 주목할 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