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히고 데우기'로 혈당 걱정 끝

 인도 영자신문 '타임즈오브인디아'는 최근 하버드대 출신 영양학자 테리 신타니 박사가 제시한 혈당 관리 방법을 소개했다. 신타니 박사는 혈당 수치를 급격히 올리지 않으면서 탄수화물을 먹을 수 있는 간단한 방법을 제시하며, 이는 25만 명 이상의 팔로워를 보유한 인기 영양학자의 주장이기도 하다.

 

일반적으로 탄수화물은 건강한 식단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이들이 혈당에 미치는 영향은 다양하다. 빵이나 채소와 같은 음식을 먹으면 소화기관에서 탄수화물이 단당류로 분해되어 혈류로 흡수된다. 이때 탄수화물의 종류에 따라 혈당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지며, 탄수화물의 혈당 지수(GI)가 높을수록 혈당이 급격히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

 

신타니 박사는 혈당 지수(GI)가 높은 음식을 걱정 없이 즐기고 싶다면, 식사를 어떻게 준비하느냐가 중요한 포인트라고 말한다. GI가 높은 음식은 일반적으로 포도당을 빠르게 방출해 혈당을 급격히 상승시키는데, 반대로 GI가 낮은 음식은 천천히 포도당을 혈액으로 방출시킨다.

 

그렇다면, 어떻게 탄수화물의 혈당 지수를 낮출 수 있을까? 신타니 박사는 "일반적인 탄수화물의 혈당 지수를 최대 50%까지 낮출 수 있는 간단한 방법이 있다"고 주장했다. 바로 조리한 음식을 냉각시키고 다시 데우는 것이다. 그는 이 과정에서 탄수화물의 구조적 변화가 일어나 전분이 저항성 전분으로 변하면서 혈당 지수가 낮아진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감자나 파스타와 같은 탄수화물을 예로 들면, 감자는 조리 후 냉각시키고 재가열하면 혈당 지수가 30%에서 40%까지 낮아진다. 파스타 역시 냉각하고 재가열하면 혈당 지수를 최대 50%까지 낮출 수 있다. 이는 신타니 박사가 말한 것처럼 전분의 구조적 변화가 영향을 미친다.

 

신타니 박사는 이 과정을 통해 전분의 소화 속도가 느려지고, 결과적으로 당이 혈류로 방출되는 속도도 천천히 이루어진다고 설명했다. 이를 통해 혈당 수치의 급격한 상승을 피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탄수화물을 과도하게 섭취해도 혈당 지수를 관리할 수 있는 간단한 방법이 바로 '데우고 식히기'라는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탄수화물 섭취에 대한 걱정 없이 다양한 음식을 즐길 수 있기를 바라지만, 실제로 혈당 지수를 조절하는 것은 어려운 일일 수 있다. 그러나 신타니 박사의 이 간단한 방법을 통해 탄수화물을 건강하게 섭취하면서도 혈당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는 주장은 많은 사람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이 방법은 감자와 파스타 외에도 다양한 음식에 적용할 수 있으며, 혈당 관리가 중요한 사람들에게는 유용한 정보가 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반적인 권장 사항이며, 각 개인의 건강 상태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실생활에 적용할 때에는 전문가와의 상담이 필요할 것이다.